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부복지&혜택_핵심정보요약186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일상의 불편함, 부족함을 해소하고 싶을 때_일상돌봄 서비스 사업(기본서비스 : 일상돌봄 기본서비스, 특화서비스 : 돌봄필요 청·중장년, 가족돌봄청년 대상, 돌봄필요 중장년 대상, 돌봄필요 청년과 가족돌봄청년 대상)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 지원 대상-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년 및 중장년(19~64세)과 가족돌봄청년(13~39세)* 질병·부상으로 독립적 일상생활이 어려운 청·중장년, 고독사 위험 중장년, 고립은둔청년, 자립준비청년, 가족돌봄청년 등 - 지원 내용- 기본서비스(재가 돌봄·가사 서비스)와 특화서비스(식사영양관리, 심리지원, 소셜다이닝 등)로 구성,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이용  ◈ 일상돌봄 기본서비스서비스명서비스 내용단가(월)제공횟수(월)돌봄·가사월 36시간(A형)가정방문을 통한 돌봄·가사 서비스의 제공① (재가돌봄) 목욕 등 신체청결, 옷 갈아입히기 등 몸단장 지원, 식사도움, 체위변경, 안전관리 등 신체 수발지원 및 건강지원② (가사) 청소, 설거지, 식사 준비.. 2024. 9. 28.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일상의 불편함, 부족함을 해소하고 싶을 때_가사·간병 방문 지원사업, 쌀 할인판매(양곡할인), 저소득 지역가입자 국민연금보험료 지원 가사·간병 방문 지원사업> [가사·간병 방문 지원사업]-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불편함을 해소하고, 생활의 어려움으로 누리기 힘들었던 교육, 문화,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해드립니다. - 지원 대상- 만 65세 미만의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계층 중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가사·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자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질환자·희귀난치성 질환자• 소년소녀가정·조손가정·한부모가족(법정보호세대) 등• 만 65세 미만의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퇴원자 ※ 동일 또는 유사 서비스 이용자는 제외됨 - 지원 내용- 한 달에 일정시간 가사 및 간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바우처) 지원※ 자격 결정일로부터 1년 지원(단, 재판정 절차를 통해 1년 단위로 연장 가.. 2024. 9. 28.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채무조정)_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경제적 어려움으로 갚기 힘들었던 채무를 개인의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낮아진 신용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드립니다. - 지원 대상 국민행복기금이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인수한 연체채권 관련 대상자 - 지원 내용- 채무자의 상황(연령, 연체기간, 소득 등)에 따라 원금 감면(원금의 20~70%, 특수 채무자는 최대 90%), 상환기간 조정(최장 10년) - 신청 방법• 오프라인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방문 신청• 온라인 : 국민행복기금 누리집에서 신청 - 문의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통합콜센터(☎1588-3570)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 지원 대상- 신용회복지원협약 가입기관에 대한 총 채무액이 15억 원 이하(무담보 5억.. 2024. 9. 27.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거안정자금지원)_주거안정 월세대출(순수 월세 대출 시), 전세금안심대출보증, 일반전세자금보증 주거안정 월세대출(순수 월세 대출 시)> [주거안정 월세대출(순수 월세 대출 시)] - 지원 대상- 보증금 1억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의 전용면적 85㎡이하(읍·면지역 100㎡) 주택 월세계약을 체결하고 부부합산 순자산가액이 3억 4,500만 원 이하인 무주택자우대형일반형• 무소득 취업준비생(만 35세 이하)으로 부모 연소득6,000만 원 이하• 취업 5년 내 사회초년생(만 35세 이하)으로 부부합산연소득 4,000만 원 이하• 희망저축(키움)통장 가입자• 1년 이내 수급사실 인정되는 근로장려금 수급자 및 자녀장려금 수급자• 주거급여 수급자• 부부합산 연소득이 5,000만 원 이하로 우대형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 지원 내용- 월세자금을 저금리(우대형 1.3%, 일반형 1.8%)로 매월 6.. 2024. 9. 27.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거안정자금지원)_내집 마련 디딤돌대출(주택구입 시), 보금자리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전·월세 보증금 대출 시), 일반월세자금보증 내집 마련 디딤돌대출(주택구입 시)> [내집 마련 디딤돌대출(주택구입 시)]- 내집 마련을 꿈꾸는 저소득 가구에게 주택구입자금 또는 전세자금을 낮은 금리로 빌려드립니다. - 지원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6천만 원(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및 2자녀 이상 가구 7천만 원, 신혼가구8.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4.69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지원 내용• 전용면적 85㎡(읍·면지역 100㎡) 이하로 5억(신혼부부 및 2자녀 가구 6억)원 이하 주택의 구입자금을 최대 2억 5,000만 원(신혼부부 및 2자녀 가구 4억 원)까지 소득별로 연 2.45%~3.55% 저금리로 대출 • 상환기간은 10년, 15년, 20년, 30년이며 거치기간은 1년 또는 비거치 - 신청 방법•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KB국민·NH.. 2024. 9. 27.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거환경개선지원)_에너지 취약계층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지원,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에너지 취약계층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지원> [에너지 취약계층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지원] -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 영구임대주택, 사회복지시설 - 지원 내용- 저효율 조명기기(백열전구, 형광등, 다운라이트 등)를 고효율 조명기기(LED)로 교체하는 비용을 지원 - 신청 방법- 소재지 시군구 에너지 담당부서에서 발굴(수급권자 가구, 영구임대주택) 및 신청(사회복지시설) - 문의• 소재지 지자체(시군구) 에너지 담당부서• 한국에너지재단 에너지협력팀(☎02-6913-2147)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 지원 대상-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생활이 곤란한 가구(자활급여를 받는 차상위자, 장애수당 또는 장애 아동수당 수급자, 생계급여·주거.. 2024. 9. 27.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거환경개선지원)_에너지바우처, LPG용기 사용가구 시설개선, 신재생에너지 설치 지원 에너지바우처> [에너지바우처] - 지원 대상-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 세대 중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이 포함된 세대노인영유아장애인임산부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1959.12.31.이전 출생자2018.1.1.이후 출생자등록장애인임신 중이거나분만 후 6개월미만인 여성「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별표3], [별표4], [별표4의2]에 해당하는 자한부모가족소년소녀가정「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의2에 따른 지원대상자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분야 사업 중 소년소녀가정 지원대상에 해당하는 사람(「아동복지법」 제3조에 의한 가정위탁보호아동을 포함)   - 지원 제외①.. 2024. 9. 26.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거환경개선지원)_주거급여(맞춤형급여), 슬레이트 처리 지원, 노후 영구 임대주택 리모델링 주거급여(맞춤형급여)> [주거급여(맞춤형급여)]- 주택수리, 노후시설교체 등 주거생활 개선이 필요한 분들이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지원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 지원 내용• 임차가구 : 지역 및 가족 수에 따라 산정한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수급자의 실제임차료 지원※ 임차급여 미지급 대상- 신규 사용대차 가구- 수급자가 수급자의 1촌 직계 혈족 및 그 배우자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보장시설 수급자, 법령에 따라 제공된 거주시설 수급자, 가정위탁중인 입양대상 아동   • 자가가구 : 구조안전·설비·마감 등 주택 노후도를 평가(경·중·대 보수로 구분)하여 종합적인 주택개량 지원구분경보수중보수대보수수선비용(주기)457만 원(3년)849만 원(5년.. 2024. 9. 26.
2024년_정부복지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택임대)_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긴급 주거지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 지원 대상• 19~34세 이하 청년으로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자• 청년 원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이면서 청년 독립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지원 내용• 지원한도 :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최대 240만 원(월 최대 20만 원)까지 최대 12개월(회) 동안 매월 분할 지원※ 임차보증금, 관리비 등은 제외 • 지원기간 : 최대 12개월(회) 지원- (신청기간) ’24.2.26 ~ ’25.2.25. (1년간)- (지급기간) ’24.3 ~ ’26.12 내 매월 25일(토요일이거나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날) 현금으로 지급※ 예산 사정에 따라 지급일 변동 가능(지급일자 변경, 소급지급 등) -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2024. 9. 26.
2024년_정부복지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택임대)_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전세임대 지원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전세임대 지원>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전세임대 지원] - 지원 대상- 대상별 가구소득 및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이며 세부 기준을 만족하는 자구분지원 대상소득 및 자산 기준일반 저소득층전세임대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청년 전세임대무주택자인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신혼부부전세임대Ⅰ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신생아가구 및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혼인가구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70%(맞벌이 90%) 이하 국민임대.. 2024. 9. 26.
2024년_정부복지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택임대)_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매입임대주택 지원)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매입임대주택 지원>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매입임대주택 지원] - 지원 대상- 대상별 가구소득 및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이며 세부 기준을 만족하는 사람구분지원 대상소득 및 자산 기준일반저소득층매입임대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이하영구임대 자산기준 충족(총자산 2억 4,1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청년매입임대무주택자인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신혼·신생아매입임대Ⅰ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신혼부부(결혼 7년이내), 예비신혼부부, 유자녀 가구(6세 이하 자녀), 신생아 가구도시근로자가구 월.. 2024. 9. 25.
2024년_정부복지핵심정보요약_생계지원_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주택임대)_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공급(6년임대/뉴홈 선택형))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공급(6년임대/뉴홈 선택형)>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공급(6년임대/뉴홈 선택형)] - 지원 대상-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아래 공급유형별 자격을 충족한 무주택 세대구성원구분입주 자격일반사항소득 및 자산일반공급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입주자저축(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자로서 입주할 때까지 무주택 세대구성원인 사람(소득)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가구원수 1명은 120%, 2명은 110%)(순자산) 362백만 원 이하청년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입주자저축(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여 6개월이 지나고 매월 약정납입일에 월납입금을 6회 이상 납입한 미혼인 청년(19세 이상 39세 이하)으로, 무주택자(청년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 2024. 9.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