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행동이 아이디어를 결과로 만들어 준다, 복잡한 일일수록 단순하게 풀어라, 타인으로부터 진심 어린 존경을 받는 방법,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면…, 꾸준히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성과를 낸다
행동이 아이디어를 결과로 만들어 준다>○ 행동이 아이디어를 결과로 만들어 준다○ 아이디어는 세상을 바꾸는 소중한 자산이고, 적절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며, 지식과 지혜는 위대한 성취를 추구할 때 근본이 되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아이디어도, 준비도, 지식이나 지혜도 행동 없이는 무용지물이다. - 로버트 링거, ‘Action’에서 이어지는 글>- 앤드류 그로브 인텔 전 회장이 실천을 강조한 연설에서 뽑은 내용을 함께 보내 드립니다.- “이해는 실천으로부터 나온다. 그러니 서둘러라. 옷을 더렵혀라. 먼저 뛰어들고 나중에 계획을 세워라.그리고 개선시켜라. 우리 시대, 우리 업계에서 혁명은 정확히 이런 공식을 거쳐 일어난다.” HBIZ_STORY2 : 복잡한 일일수록 단순하게 풀어라>○ 복잡한 일일수록 단..
2024. 9. 16.
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동사형 인간으로 살아가기, 실패는 기회의 또 다른 이름,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반복되는 말은 반드시 열매를 맺는다, 나의 역경은 정말 축복이었습니다
동사형 인간으로 살아가기>○ 동사형 인간으로 살아가기○ 나의 본질은 동사죠. 나는 명사보다 동사에 맞춰져 있어요.○ 고백하기, 회개하기, 반응하기, 성장하기, 도약하기, 변화하기, 씨 뿌리기, 달리기, 춤추기, 노래하기 등의 동사죠.○ 그런데 인간에겐 은총이 가득하고 생명력 넘치는 동사를 죽은 명사나 썩은 냄새가 나는 원칙으로 바꾸는 재주가 있어요. - 윌리엄 폴 영, ‘오두막’에서 이어지는 글>- 죽은 명사가 아니라 생명력 넘치는 동사로 사는 사람들은 성장합니다.- 또한 동사의 삶을 사는 사람이 넘치는 사회는 언제나 성장합니다. - 중요한 것은 말하는 것이나 희망하는 것, 바라는 것이나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선택이 실질적으로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확실히 말해 줍니다.(브라이..
2024. 9. 15.
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용기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좀 늦게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인재는 100년을 내다보고 키워야 한다, 진정 버려야 할 것은 ‘안된다’는 사고 패턴이다, 성을 쌓지 말라
용기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용기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꿈이 있는 자는 목표가 있고, 목표가 있는 자는 계획이 있고, 계획이 있는 자는 실천을 하고, 실천을 하는 자는 실적이 있고, 실적이 있으면 반성을 하게 된다. ○ 반성을 하게 되면 또 다른 새로운 꿈을 꾸게 된다.○ 누구에게나 머물 것인지, 떠날 것인지, 뛰어들 것인지, 관망할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 세상이 변화의 거대한 용틀임을 할 때, 그것에 정면으로 뛰어드는 것, 그 결단의 원동력이 되는 것은 바로 ‘최상의 삶’을 살고자 하는 열정이다. ○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다.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함평 나비축제 성공스토리를 그린 ‘나비의 꿈’이란 책에서 옮겼습니다. 이어지..
2024. 9. 14.
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말에는 예언자적 힘이 있다,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난국은 당신의 벗이다,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인사하는 습관, 옷 입는 습관, 책 읽는 습관, 돈 쓰는 습관, 상대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는 습관, 상대의 입장을 배려할 줄 아는 습관, 아이들이나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보면 감싸고 도와주는 습관,사물의 이면을 관찰하는 습관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습관이 모여서 인품을 만든다. ○ 성공하는 사람은 훌륭한 습관을 지니고 있다.○ 바꿔 말하면 훌륭한 습관을 지니고 있어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다. ○ 성공을 꿈꾸지 않는 사람이라면 나쁜 버릇을 평생 고치지 못하지만 성공을 꿈꾼다면 나쁜 버릇은 한시라도 빨리 고쳐야 한다'○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자 미상의 글..
2024.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