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법률상담>
[무료 법률상담]
- 가족, 이웃, 직장 등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법률적으로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지원 대상 대한민국 국민, 국내 거주 외국인
- 지원 내용
• 방문상담 : 전국 134곳 공단 사무소(지부, 출장소, 지소), 10~17시
• 화상상담 : PC, 휴대전화를 이용한 상담
• 전화상담 : 국번없이 ☎132
• 채팅상담 : ☎132 전화, 홈페이지 챗봇을 통한 실시간 채팅 상담
- 신청 방법 예약 후 상담
* 예약방법 : 누리집, 유선(☎132), 공단 사무실 방문
- 문의 대한법률구조공단(☎132)
<마을변호사>
[마을변호사]
- 지원 대상
- 마을변호사가 배치된 무변촌 등 지방 소도시 읍면동 거주 주민 누구나
- 지원 내용
- 해당 읍면동 지역 마을 주민들에게 무료 법률상담 제공
- 신청 방법
- 마을변호사 블로그 또는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의 마을법률담당공무원을 통해 담당 마을변호사를 확인한 후 전화 ․ 이메일 등으로 상담 신청
※ 마을변호사가 현장 방문상담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의 마을법률담당공무원에게 문의
- 문의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대한변호사협회(☎02-2087-7851)
• 법무부(☎02-2110-3500)
<법문화교육센터>
[법문화교육센터]
- 지원 대상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 지원 내용
• 사회통합 과정 : 국적취득, 대한민국 기본 법질서 이해
• 결혼생활 과정 : 결혼법, 상속법
• 경제생활 과정 : 근로 및 소비, 주택임대차보호법, 파산·개인회생
• 준법생활 과정 : 기초질서, 교통질서, 생활법률
※ 청소년 : 진로체험, 학교폭력예방, 민주시민(아동의 권리 등)
- 신청 방법 법문화교육센터 누리집에서 교육일정 확인 후 신청
- 문의 대한법률구조공단 법문화교육센터(☎054-432-6812)
<법률홈닥터>
[법률홈닥터]
- 지원 대상
- 기초생활 수급자, 장애인, 범죄피해자, 다문화가정 등 법률복지 취약계층
- 지원 내용
- 무료 법률상담, 법교육, 법률문서 작성 조력, 유관기관 연계 등
- 신청 방법
- 법률홈닥터 누리집에서 지역별 법률홈닥터 상담 전화번호 검색 후 전화 상담 또는 방문 상담 예약 후 방문 상담
- 문의
• 상담 문의 : 법률홈닥터 누리집에서 지역별 법률홈닥터 상담 전화번호 참고
• 제도 운영 : 법무부 인권구조과(☎02-2110-3753, 3824)
<마을세무사>
[마을세무사]
- 지원 대상 주민 누구나(생활이 어려운 주민 우선 상담)
- 지원 내용
- 마을세무사가 국세·지방세 세무상담, 각종 신청서 작성 지원, 지방세 관련 불복 청구 지원 등의 세무 서비스 제공
- 신청 방법
-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 누리집 등에서 해당지역(시군구 또는 읍면동) 마을세무사 연락처 확인 후 전화·팩스·이메일로 상담 신청
- 문의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마치면서]
본 포스팅은 2024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지원신청을 위해서는 문의처에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법률·금융복지지원_본인이나 가족이 생활 속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내고 싶을 때_무료 법률상담, 마을변호사, 법문화교육센터, 법률홈닥터, 마을세무사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법령과 지원에에 대한 의견 개진은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및 국민신문고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원행정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