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 지원 대상
• 신규수술 : 의료기관이 인공달팽이관 이식 수술이 필요하다고 진단한 청각장애인
• 재활치료 : 최근 3년간(2021년 1월 1일 이후) 인공달팽이관 이식 수술을 받은 청각장애인
※ 재활치료는 수술 후 다음 연도부터 3년 이내만 신청 가능
- 지원 내용
•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 최대 700만 원 지원
• 재활치료비 : 수술 후 3년간 최대 1,050만 원 지원
※ 치료지원기간,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은 시도, 시군구에서 정합니다.
- 신청 방법
- 장애인등록진단비 신청서, 영수증 지참 후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129)
<발달재활 서비스>
[발달재활 서비스]
- 지원 대상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80%(4인 기준 직장 37만 7,299원, 지역 35만 1,294원) 이하 가구의 18세 미만 장애아동(뇌병변, 지적, 자폐성, 언어, 청각, 시각)
※ 재학 중인 아동은 20세 미만까지 가능
- 지원 내용
• 매월 17∼25만 원의 발달재활 서비스이용권(바우처) 지급
• 사설치료실, 복지관 등 시군구에서 지정한 기관 중 이용자가 원하는 기관에서 서비스 이용 가능
• 언어재활·청능재활·미술심리재활·음악재활·행동발달재활·놀이심리재활·재활심리·감각발달재활·운동발달재활·심리운동 등 발달재활서비스 중 선택 이용
- 신청 방법
- 본인 및 친족, 기타관계인이 아동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복지공무원 직권 신청 가능
-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자주하는 질문]
Q : 반드시 장애등록을 해야만 지원받을 수 있나요?
- 6세 이상은 장애등록을 해야 합니다. 단, 영유아(6세 미만)의 경우 장애등록 없이 시각·청각·언어· 지적·자폐성·뇌병변 장애로 예견되어 발달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세부영역 검사결과서 및 검사자료만으로도대체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
- 지원 대상
- 지속적인 건강관리, 재활훈련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지역사회 등록장애인
- 지원 내용
- 조기적응프로그램, 건강관리서비스(통증관리, 만성질환 등), 재활훈련서비스(재활운동교육, 2차장애예방교육 등), 자원연계서비스(통합건강증진 사업 내 연계, 의료기관 연계 등) 제공
- 신청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 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거주지 보건소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마치면서]
본 포스팅은 2024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지원신청을 위해서는 문의처에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의료 및 재활지원이 필요할 때_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발달재활 서비스,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법령과 지원에에 대한 의견 개진은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및 국민신문고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원행정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