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TJ, 회계쟁이의 세금 이야기

가업상속공제의 요건, 의무 및 혜택 핵심 요약정리

by ISTJ, 회계쟁이 2024. 5. 21.
반응형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한 중소·중견기업으로 가업 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최대 600억 원까지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가업상속공제란?>

가업 상속공제란 중소기업 등의 원활한 가업 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거주자 인 피상속인이 생전에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한 중소·중견기업의 가업 상속 재산을 상속인에게 정상적으로 승계한 경우에 가업 영위 기간에 따라 최대 600억 원까지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 201911일 이후 상속분: 공제율 100%

공제 한도액(10년 이상 300억 원, 20년 이상 400억 원, 30년 이상 600억 원 )

 

가업상속재산이란 개인 기업은 상속 재산 중 가업에 직접 사용되는 토지, 건축물, 기계장치 등 사업용 자산을 말하고, 법인 기업은 상속 재산 중 가업에 해당하는 법인의 주식·출자지분(사업 무관자산 비율은 제외)을 말한다. 가업 상속공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가업 요건, 피상속인 요건, 상속인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사업상속공제 요건>

1) 가업의 요건

가업이란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한 기업으로, 상속 개시일이 속하는 소득세 과세기간 또는 법인세 사업연도의 직전 소득세 과세기간 또는 법인세 사업연도 말 현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15조의 요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말합니다.

 

2) 피상속인의 요건

가업상속공제 대상 가업이 법인이라면, 피상속인이 법인의 최대주주✽ (최대출자자)로 특수관계인의 주식 등을 합하여 발행주식총수의 40% (상장법인 20%) 이상을 10년 이상 계속 보유해야 합니다.

 

가업승계에 따라 주식전부를 증여하여 최대주주 등이 아니게 된 경우 포함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 현재 거주자일 것

피상속인이 가업의 영위기간 중 아래의 (), (),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을 대표이사(개인사업자인 경우 대표자를 말함)로 재직

() 100분의 50 이상의 기간

() 10년 이상의 기간(상속인이 피상속인의 대표이사 등의 직을 승계 하여 승계한 날부터 상속개시일까지 계속 재직한 경우로 한정)

()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중 5년 이상의 기간

 

3) 상속인의 요건

(상속인의 배우자가 아래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는 상속인이 그 요건을 갖춘 것으로 봅니다)

상속개시일 현재 18세 이상

상속개시일 전에 2년 이상 직접 가업에 종사 (다만, 피상속인이 65세 이전에 사망하거나 천재지변 및 인재 등 부득이한 사유로 피상속인이 사망한 경우에는 2년 이상 직접 가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됨)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까지 임원으로 취임하고 상속세 신고기한 부터 2년 이내에 대표이사(대표자)로 취임해야 함

 

 

 

<사업상속공제 사후관리 요건>

가업상속공제 후 5년✽간 아래 요건 해당 시 사유 발생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공제받은 금액을 상속개시 당시의 상속세 과세 가액에 산입하여 이자상당액을 포함하여 상속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202311일 시행 이후 상속이 개시되는 분부터 적용(종전 7)되며, 202311일 현재 사후관리 중인 경우에도 적용

 

(자산유지) 가업용 자산의 40% 이상 처분

(가업종사) 상속인이 가업에 종사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지분유지) 상속인의 주식 지분이 감소된 경우

(고용유지) 근로자수·총급여액 5년✽ 평균 90%에 미달하는 경우 ✽202311일 시행 이후 상속이 개시되는 분부터 적용(종전 7)되며, 202311일 현재 사후관리 중인 경우에도 적용

 

 

 

<사업상속공제 혜택 배제>

탈세·회계부정 기업인의 가업상속 혜택 배제됩니다.

(범죄행위) 상속대상 기업의 경영과 관련한 탈세 또는 회계부정

(행위시기) 상속개시 전 10년부터 상속 개시 후 7년까지

(처벌대상자) 피상속인 또는 상속인

(처벌수준) 확정된 징역형 또는 일정 기준 이상 벌금형✽

(탈세 ) 포탈세액 3억 원 이상이고 납부할 세액의 30% 이상인 경우 또는 포탈 세액이 5억 원 이상인 경우 ‌

(회계부정) 재무제표상 변경 금액이 자산 총액의 5% 이상

 

 

 

<관련 법규와 가이드>

1. 관련 법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의 2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15

 

 

이상으로 가업상속공제의 요건, 의무 및 혜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국세청 2023 세금절약가이드2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