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TJ, 회계쟁이의 세금 이야기

법인세신고 길라잡이_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농어촌특별세의 계산, 농어촌특별세의 납부절차 등, 농어촌특별세의 회계처리 방법

by ISTJ, 회계쟁이 2025. 1. 12.
반응형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례]

 

-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 이 법은 농어업의 경쟁력 강화와 농어촌산업기반시설의 확충 및 농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감면세액의 일정액 등에 대하여는 농어촌특별세로

납부하여야 합니다.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과세체계]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과세체계]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과세체계]

[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과세체계]

 

 

 

<농어촌특별세의 계산>

 

-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하여 감면을 받은 법인의 경우 당해 감면세액(농어촌특별세 과세표준)100분의 20을 농어촌특별세로 납부하여야 합니다.

 

[감면의 범위]

❖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하여 법인세가 부과되지 아니하거나 경감되는 경우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 세액공제, 세액면제 또는 감면

- 비과세・소득공제

- 조합법인에 대한 법인세 특례세율 적용

*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익금불산입・준비금손금산입・특별감가상각비의 계상, 등은 농어촌 특별세 과세대상 “감면”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농어촌특별세의 비과세]

유 형 비 과 세 내 용 (조세특례제한법 조문)
1. 국가・ 지방자치 단체 감면(농특세법§4(1)) ① 국가(외국정부 포함)・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조합에 대한 감면
2. 농어업인 및 농어업인 관련 단체에 대한 감면 (농특세법§4(2))
(법령§4①(1))
① 영농조합법인 등에 대한 법인세의 면제 등(조특법§66)
② 영어조합법인 등에 대한 법인세의 면제 등(조특법§67)
③ 농업회사법인에 대한 법인세의 면제 등(조특법§68)
④ 조합법인 등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조특법§72①)
* 조세특례제한법§72①(1)의 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 (5)의 중소기업협동조합 등,
(8)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등은 비과세 제외
⑤ 산림개발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감면(조특법§102)
⑥ 어업협정에 따른 지원금에 대한 법인세 등 비과세(조특법§1042)
3. 중소기업에 대한
감면(농특세법§4(3))
①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조특법§6)
②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조특법§7)
4. 비거주자, 외국법인
감면(농특세법§4(5))
① 조세특례제한법§21에 따른 이자소득 등에 대한 감면 중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에 대한 감면(조특법§21)
5. 기술 및 인력 개발,
공익사업 등 국가 경쟁력 확보, 국민경제의 효율적
운영 (농특세법§4(12))
(법령§4⑥(1))
①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조특법§10)
② 연구개발관련 출연금 등의 과세특례(조특법§102)
③ 기술이전소득에 대한 세액감면(조특법§12)
④ 연구개발특구 입주 첨단기술기업 등에 대한 법인세 감면(조특법§122)
⑤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등의 주식 양도차익 비과세(조특법§13)
⑥ 고용유지중소기업 등에 대한 과세특례(조특법§303)
⑦ 사업전환 중소기업에 대한 과세특례(조특법§33)
⑧ 수도권 밖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등(조특법§63)
⑨ 수도권 밖으로 본사를 이전하는 법인에 대한 세액감면 등(조특법§632)
⑩ 농공단지 입주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조특법§64)
⑪ 위기지역 창업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조특법§999)
⑫ 감염병 피해에 따른 특별재난지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법인세 등의 감면
(조특법§9911)
⑬ 전자신고 세액공제(조특법§1048①,③)
⑭ 대한주택공사 및 한국토지공사의 합병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조특법§10421)
⑮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에 대한 세액감면(조특법§10424)
16.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에 대한 과세특례
(조특법§10428)
17. 조특법§1212부터 §1214 까지에 따른 감면
18. 성실신고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조특법§1266)

6. 고용증대를 위한 감면(농특세법§4.113) ① 정규직 근로자의 전환에 따른 세액공제(조특법§302)
② 중소기업 사회보험료 세액공제(조특법§304)
7. 기 타
(농특세법§4.112,
114)
① 조특법§20, §100, §140, §141의 규정에 의한 감면
② 조특법§12124에 따른 감면

 

※ 농어촌특별세 비과세 대상으로 규정된 조세특례제한법의 해당 규정과 같은 취지의 감면을 규정한 법률 제4666

- 조세감면규제법개정법률의 해당 규정에 대하여 동법 부칙 제13조 내지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경과조치 또는 특례가 적용되는 경우에 동 경과조치 또는 특례에 대하여서도 농어촌특별세를 부과하지 아니합니다(농어촌특별세법 시행령§4⑦).

 

 

 

[과세표준과 세율]

- 조세감면액에 부과되는 농어촌특별세의 과세표준은 조세특례제한법상 법인세의 감면세액을 말하며, 세율은 20%입니다.

 

① 세액공제, 세액면제 또는 감면분에 대한 과세표준금액

- 당해 사업연도에 공제받은 세액으로서 최저한세 조정 후 공제세액을 말합니다.

 

② 비과세소득 및 소득공제액에 대한 과세표준금액

- 비과세소득 및 소득공제액을 과세표준에 가산한 금액 × 법인세율 - 비과세소득・소득공제액을

과세표준에서 차감한 금액 × 법인세율

 

③ 특례세율이 적용되는 조합법인에 대한 과세표준금액

- 각 사업연도 과세표준 금액 × 법인세법§55①의 세율 - 각 사업연도 과세표준 금액 × 9

 

 

 

[계산사례]

- 2023사업연도 과세표준 금액이 7억원인 새마을금고(12월말 법인)의 경우

 

- 감면세액(과세표준) [(2×10%)(5×20%)][(7×9%)] [120백만원][63백만원] 57백만원

 

 

 

<농어촌특별세의 납부절차 등>

 

[신고 납부]

 

❖ 법인세 감면세액에 부과되는 농어촌특별세는 법인세법의 규정에 따라 법인세를 신고・납부하는 때에 함께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 중간예납하는 법인세분에 대하여는 농어촌특별세를 납부하지 아니합니다.

 

❖ 「법인세법」에 따른 연결납세방식을 적용받는 법인은 연결모법인이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 이자소득에 대한 법인세가 원천징수방법으로 과세되는 비영리법인이 구조세감면 규제법§82(국・공채 이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를 적용받는 경우에는 감면신청을 하여 지급받는 환급금에서 농어촌특별세를 징수합니다.

 

[분 납]

 

❖ 법인세를 분납하는 경우에는 그 분납비율에 따라 농어촌특별세도 함께 분납할 수 있습니다.

 

❖ 법인세가 1,000만원을 초과하지 아니하여 분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농어촌특별 세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납할 수 있습니다. - 농어촌특별세액이 500만원 초과 1천만원 이하인 경우 → 500만원 초과 금액 - 농어촌특별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100분의 50이하 금액

 

[수정신고]

 

❖ 농어촌특별세의 수정신고는 당해 본세(법인세)의 수정신고 예에 따라 신고기간, 가산세 경감 등이 적용됩니다.

 

 

 

<농어촌특별세의 회계처리 방법>

 

❖ 법인세법에서 손금에 산입하도록 되어 있는 세목을 본세로 하는 농어촌특별세는 본세와 같이 손금에 산입하고,

- 손금에 불산입하도록 되어 있는 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는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합니다.

 

[농어촌특별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계산 사례]

 

- 사례 자료

① 사업연도:2023.1.1.∼12.31.(일반 영리법인임)

② 법인결산상 당기순이익 450,000,000

③ 익금산입 및 손금불산입 금액 100,000,000

㉮ 업무무관 가지급금 관련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 10,000,000

㉯ 조특법상 준비금 한도초과설정액 : 40,000,000

㉰ 기업업무추진비 한도초과액 : 50,000,000

④ 손금산입 및 익금불산입금액 50,000,000

⑤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 500,000,000

⑥ 과세표준금액 500,000,000

⑦ 산출세액 75,000,000

⑧ 공제감면세액 14,000,000

㉮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 11,000,000

㉯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감면 : 3,000,000

☞ 조특법상 비과세소득・소득공제액은 없으며, 최저한세의 적용으로 인하여 익금산입되거나, 이월공제되는 세액은 없는 것으로 가정함

 

- 작성내용

1. 조세감면액에 부과되는 농어촌특별세

. 세액공제, 세액면제 또는 감면분에 대한 과세표준:14,000,000(11,000,0003,000,000 14,000,000)

. 소득공제금액에 대한 과세표준:0

. 조세감면액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 14,000,000×20%2,800,000

 

※ 조특법상 특별감가상각비 및 준비금 손금산입액에 대하여는 농어촌특별세가 과세되지 않음

 

 

 

<홈택스 신고 바로가기>

국세청 홈택스 신고 바로가기

 

1. 홈택스 로그인은 간편인증서,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 가능합니다.

 

2. 세금신고는 홈택스 상단 메뉴에서 세금신고를 선택하신 후, 화면 중단에서 신고하고자 하는 세금 종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3. 홈택스에는 모의계산, 간편계산 또는 자동계산 등으로 신고의 편의를 위한 메뉴가 있으니, 실제 신고에 앞서 또는 신고 과정에서 보다 손쉽게 세금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법인세신고 길라잡이_법인세에 대한 농어촌특별세, 농어촌특별세의 계산, 농어촌특별세의 납부절차 등, 농어촌특별세의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법인세 신고안내 매뉴얼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