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좋은 이야기

리더십_경영 및 인사 관련_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말에는 예언자적 힘이 있다,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난국은 당신의 벗이다,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by ISTJ, 회계쟁이 2024. 9. 12.
반응형

<HBIZ_STORY1 : 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인사하는 습관, 옷 입는 습관, 책 읽는 습관, 돈 쓰는 습관, 상대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는 습관, 상대의 입장을 배려할 줄 아는 습관, 아이들이나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보면 감싸고 도와주는 습관,

사물의 이면을 관찰하는 습관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습관이 모여서 인품을 만든다.

 

성공하는 사람은 훌륭한 습관을 지니고 있다.

바꿔 말하면 훌륭한 습관을 지니고 있어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다.

 

성공을 꿈꾸지 않는 사람이라면 나쁜 버릇을 평생 고치지 못하지만 성공을 꿈꾼다면 나쁜 버릇은 한시라도 빨리 고쳐야 한다'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자 미상의 글을 보내드립니다.

 

<이어지는 글>

-

 

 

 

<HBIZ_STORY2 : 말에는 예언자적 힘이 있다>

○ 말에는 예언자적 힘이 있다

○ 인간은 말의 지배를 받는 동물이다.

○ 성공하는 사람은 말부터 다르다.

○ 그들의 말은 늘 확신에 차 있고, 긍정과 낙관으로 가득하다.

○ 성공했기에 말이 달라진 것이 아니다. 말이 다르기에 성공한 것이다.

 

○ 성공할 기미가 없는 사람들을 보라.

○ 말에 자신이 없고 부정과 비관으로 가득 차 있다.

○ 그리고 늘 남을 탓하고 남을 욕한다.

 

- 김영식 천호식품 회장, ‘10미터만 더 뛰어봐’에서

 

<이어지는 글>

- 인간의 뇌 세포는 98%가 말의 지배를 받는다고 합니다.

- 그래서 말에는 행동을 유발하는 힘이 있습니다.

 

- “말을 하면 그 말이 뇌에 박히고, 뇌는 척수를 지배하며, 척수는 행동을 지배한다”고 김회장은 주장합니다.

 

- 그렇습니다. 할 수 있다고 말하면 할 수 있게 되고, 할 수 없다고 말하면 할 수 없게 되는 것, 그것이 말의 힘입니다.

 

 

 

<HBIZ_STORY3 :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고객은 알고 있는 것이 없다.

누군가에게 유익한 것을 만드는 것은 전적으로 생산자에게 달려있다.

모든 고객은 여태까지 무엇을 만들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고객이 무엇을 사고 싶어 하는지의 예측은 생산자가 해야 할 업보이다.

 

- 품질경영의 대가, W.E Deming

 

<이어지는 글>

- 피터 드러커 교수의 ‘고객의견에 대한’ 전혀 상반되는 견해를 보내드립니다.

- 경영에는 정답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고객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너무나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고객 그 자신만이 대답 할 수 있다. 고객은 어디에 가치를 두고 있을까?를 경영진이 생각(guess)한다면 그 자체가 불경스러운 짓이다. 그 대답을 듣기 위해서는 항상 집요하고 체계적으로 고객에게 다가가야 한다."

 

 

 

<HBIZ_STORY4 : 난국은 당신의 벗이다>

○ 난국은 당신의 벗이다

○ 우리가 배운 교훈 중 하나는 난국은 당신의 벗이라는 점이다.

○ 폭풍이 오기 전에 단련되고 준비되어 있다면, 당신은 폭풍의 시기를 고마워해야 한다.

○ 우리의 체질은 뜨겁게 활활 타오르는 가혹한 시련 속에서 단련된다.

 

- 짐 콜린스

 

<이어지는 글>

- 짐 콜린스는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할 것이라는 믿음을 갖되, 냉혹한 현실을 무시하는 극단적인 낙천주의자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합니다.

- 위대한 경영자는 이 위기를 ‘결정적인 순간’, 즉 스스로를 훨씬 더 강한 기업으로 만드는 중요한 촉매제로 변화시키겠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HBIZ_STORY5 :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큰 문제가 항상 큰 진보를 가져오지는 않지만 작은 문제는 절대 큰 진보를 가져오지 않는다.

노벨상을 수상한 동물학자인 피터 메더워(Peter Medawar)는 “단조롭고 시시한 문제는 단조롭고 시시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그래서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 게리 하멜, ‘경영의 미래’에서

 

<이어지는 글>

- 사람들은 보통 작은 문제는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 반면, 과거 방식으로는 안된다고 생각할 때 과거를 버릴 용기가 생기고, 새로운 독창성을 발휘하게 됩니다.

- 따라서 거대한 변화는 항상 위기에 의해 촉발됩니다.

- 큰 문제는 그만큼 우리에게 큰 축복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인품이란 일종의 습관이다, 말에는 예언자적 힘이 있다, 고객에게 물어보지 마라!, 난국은 당신의 벗이다, 우리는 크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