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 지원 대상
구분 | 지원대상 |
한국어교육 | 최초 입국 5년 이하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 ※ 단, 입국 5년 이상이 경과했더라도 임신·출산·취업 등 타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지자체장과 협의하에 서비스 지원 가능 ※ 중도입국 자녀는 외국에서 성장 후 국내로 입국한 다문화가족 자녀로 한정 |
부모교육 |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
자녀생활서비스 | 3~12세 이하 다문화가족 자녀, 중도입국자녀 |
- 지원 내용
구분 | 지원대상 |
한국어교육 | 생활언어를 익히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어교육서비스 제공 |
부모교육* | 자녀양육 관련 교육·정보서비스 제공 * 생애주기별 각 1회 지원(임신·출산·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
자녀생활서비스 | 학교생활 및 사회성 발달 지도 지원 |
※ 한국어교육서비스, 부모교육서비스, 자녀생활서비스 동시 제공 불가
- 신청 방법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문의
• 다누리 누리집, 다누리 앱
• 다누리콜센터(☎1577-1366)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 지원 대상 다문화가족, 관련기관
- 지원 내용
•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의 가족·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통·번역 서비스 제공
- 제공언어 : 결혼이민자 주요 출신국 언어*
* 베트남어, 중국어, 필리핀어(영어, 타갈로그어), 몽골어, 태국어, 러시아어, 캄보디아어, 일본어, 네팔어 등
- 신청 방법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신청
※ 다누리포털을 통해 인근 센터 확인
- 문의
• 다누리 누리집, 다누리 앱
• 다누리콜센터(☎1577-1366)
<결혼이민여성 직업교육훈련>
[결혼이민여성 직업교육훈련]
- 지원 대상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 구직 등록한 결혼이민여성
- 지원 내용 결혼이민여성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직업교육 제공
- 신청 방법 거주 지역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 신청
- 문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1544-1199)
<다누리콜센터(1577-1366)>
[다누리콜센터(1577-1366)]
- 지원 대상 결혼이민자 등 다문화가족
- 지원 내용
• 13개 언어* 365일 24시간 다문화가족정책서비스 안내 및 종합생활정보상담 제공
* 한국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타갈로그(필리핀)어, 크메르(캄보디아)어, 태국어, 러시아어, 몽골어, 일본어, 라오스어, 우즈벡어, 네팔어
• 폭력 등 긴급 및 위기상담, 개인·부부·가족 갈등해결 상담, 긴급 피난처 제공, 3자 통화 통역 상담 등
- 신청 방법
• 정보제공, 3자 통화 통역 : 전화(☎1577-1366)
• 폭력 등 긴급 및 위기상담 : 전화, 면접, 방문, 온라인을 통한 위기상담 → 긴급피난처 제공 → 보호시설 연계 등
- 문의
• 다누리 누리집, 다누리 앱
• 다누리콜센터(☎1577-1366)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마치면서]
본 포스팅은 2024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지원신청을 위해서는 문의처에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기타 위기별·상황별지원_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다문화가족 지원)_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결혼이민여성 직업교육훈련, 다누리콜센터(1577-1366)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법령과 지원에에 대한 의견 개진은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및 국민신문고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원행정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