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증여세 대납 시 증여세 과세>
자녀에게 부동산이나 주식 등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는 증여를 받은 자녀가 납부해야 되는데 자녀가 소득이 없으면 세금을 납부할 능력도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금으로 증여를 받으면 증여받은 현금으로 세금을 납부하면 되지만 부동산이나 주식을 증여받으면 이를 처분하지 않는 한 세금을 납부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세금을 안낼 수도 없으므로 결국 부모가 대신 납부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자녀를 대신하여 납부한 증여세는 부모가 또다시 증여한 것으로 보므로 당초 증여한 재산가액에 대신 납부한 증여세를 합산하여 추가로 과세합니다.
이를 모르고 자녀에게 증여를 한 후 증여세 신고를 하고 세금까지 납부하여 증여세 문제가 깨끗이 종결되었다고 잊고 있다가 나중에 세무서로부터 증여세를 더 내야한다는 고지서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바로 부모가 자녀를 대신하여 증여세를 납부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녀가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 정도의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증여세 상당액 만큼의 현금을 더하여 증여하면 한 번의 신고 납부로 증여세 문제를 깨끗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증여세를 추징당하게 되면 그에 상당하는 가산세까지 물어야 하므로 부담만 더 늘어나게 됩니다.
<자녀 명의로 은행에 적금을 든 경우>
직업, 연령, 소득 및 재산 상태 등으로 볼 때 재산 (예금, 적금, 주식매수대금, 부동산 등)을 자력(自力)으로 취득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재산을 취득한 때에 그 재산의 취득자금을 그 재산의 취득자 (자녀)가 증여받은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그 재산취득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봅니다.
또한, 차명 계좌를 이용한 변칙 증여에 대한 과세 강화 및 차명 계좌 증여추정 적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2013년 1월 1일 이후 신고하거나 결정, 경정하는 분부터 금융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재산은 명의자 (자녀)가 취득한 것으로 추정하며,
만약 자녀 명의의 계좌를 개설하여 현금을 입금한 경우에는 그 입금한 시기에 증여한 것으로 추정하게 됩니다.
다만, 자녀 명의의 계좌로 입금한 것이 증여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행하여진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라면 증여로 추정하지 않으나, 그에 관한 입증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납세자에게 있습니다.
<홈택스 신고 바로가기>
국세청 홈택스 신고 바로가기 |
1. 홈택스 로그인은 간편인증서,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 가능합니다.
2. 세금신고는 홈택스 상단 메뉴에서 세금신고를 선택하신 후, 화면 중단에서 신고하고자 하는 세금 종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3. 홈택스에는 모의계산, 간편계산 또는 자동계산 등으로 신고의 편의를 위한 메뉴가 있으니, 실제 신고에 앞서 또는 신고 과정에서 보다 손쉽게 세금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법규와 가이드>
1. 관련 법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제4조
이상으로 자녀의 증여세를 대납한 경우의 증여세 과세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국세청 2023 세금절약가이드2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ISTJ, 회계쟁이의 세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무신고 시 가산세 등 핵심 요약정리 (0) | 2024.05.27 |
---|---|
세대 건너 증여 시 증여세 할증 과세 핵심 요약정리 (0) | 2024.05.26 |
나이 많은 사람이 거액의 재산을 처분한 경우의 자금 사용처 증빙 핵심 요약정리 (0) | 2024.05.26 |
부채(차입금) 상환과 자금출처 조사 핵심 요약정리 (0) | 2024.05.26 |
고액 재산 취득과 자금출처 조사 핵심 요약정리 (0)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