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IZ_STORY1 : 생각 하나하나가 뇌 구조를 쉬지 않고 바꾼다>
○ 생각 하나하나가 뇌 구조를 쉬지 않고 바꾼다
○ 아주 사소한 생각조차 영향을 미쳐 뇌 구조를 바꾼다.
○ 생각 하나하나가 뇌 구조를 쉬지 않고 바꾼다.
○ 좋은 생각이든 나쁜 생각이든 뇌에 배선을 만든다.
○ 같은 생각을 여러 번 반복하면 습관으로 굳어버린다.
○ 성격도 생각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 그러니 생각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고 그 상태를 단단히 유지해 새로운 습관을 들여라.
○ 그러면 뇌 구조가 거기에 맞게 변경될 것이다.
- 하버드대, 윌리엄 제임스 교수
<이어지는 글>
- 많은 사람들이 뇌는 유전자로 결정되어 변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습니다.
- 인류는 뇌의 무한한 가능성을 이제야 깨닫고 있습니다.
- 과학은 ‘인간만이 생각을 물리적 실체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만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사실들을 속속 밝혀내고 있습니다.
<HBIZ_STORY2 : 목표는 도구의 주인이다>
○ 목표는 도구의 주인이다
○ 목표를 가진 사람은 도구를 가진 사람의 주인이다.
○ 도구만 갖고 있는 사람은 목표를 가진 사람의 종이 된다.
○ 노를 기가 막히게 잘 젓는 사공일지라도 자신의 목표를 갖고 있지 않다면 선장이 가자는 대로 가는 종이 된다.
○ 반면 스스로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다면 선장과 대등한 관계가 될 수 있다.
- 김형환, ‘CEO 위기보다 강해져라’에서
<이어지는 글>
- “목표를 설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목표를 뚜렷하게 설정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도록 운명이 결정된다.”
- 성공학의 대가 브라이언 트레이시의 주장입니다.
- 목표를 가진 주인이 될 것인지, 도구를 가진 종이 될 것인지는, 지금 나의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HBIZ_STORY3 : 위기는 안락함의 그림자다.>
○ 위기는 안락함의 그림자다
○ 위기는 안락함의 그림자다.
○ 안락함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위기가 잠복해 있다.
○ 위기 의식의 부재가 최대의 위기이다.
○ 위기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다.
○ 위기를 의식하지 못하고 있을 때 잠재되어 있던 위기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 아주 작은 것이 점점 커지고 점점 더 심해져서 결국에는 재난으로 다가올 것이다.
- 뤼궈룽, '경영의 지혜'에서
<이어지는 글>
- 전 세계적 금융위기가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가 서서히 걷히고 있습니다.
- 그러나 분명하게 손에 잡히지 않는 새로운 위기가 어디선가 용트림을 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위기는 가끔씩 찾아오는 변수(變數)가 아닌, 늘 존재하는 상수(常數)일 수 밖에 없습니다.
<HBIZ_STORY4 : 염려의 자리를 꿈으로 대체하라>
○ 염려의 자리를 꿈으로 대체하라
○ ‘염려는 흔들의자와 같이 마음을 흔들어 놓지만 앞으로는 나아가지 못한다. 염려는 엔진을 공회전 시키면서 달리는 것과 같아 어디에도 이르지 못한 채 에너지만 소모시킨다.
○ 염려는 문제를 부풀려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 염려한다고 상황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 과거를 바꿀 수도 없고 미래를 조정할 수도 없다.
○ 근심과 염려는 오히려 스스로를 더욱 더 불행하게 할 뿐이다.
○ 염려가 찾아올 수 있다. 그러나 염려가 나를 정복하도록 두어서는 안된다.
○ 염려가 차지하는 자리를 꿈에 집중하는 것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법이다.'
○ 이의수님의 칼럼에서 따왔습니다.
○ 어니 젤린스키의 주장처럼 96%의 걱정거리는 쓸데없는 것이고 나머지 4%만이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진짜 사건일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글>
-
<HBIZ_STORY5 : 긍정적인 사람은 항상 희망적이다>
○ 긍정적인 사람은 항상 희망적이다
○ 긍정적인 사람들은‘나는 할 수 있어!’'잘 해낼거야!' 라고 생각한다.
○ 그런 자신감은 에너지를 샘솟게 하고 안될 일도 되게 한다.
○ 그들은 항상 가능성을 보고 더 노력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사람보다 앞서 갈 수 밖에 없다.
○ 긍정적인 사람은 인생이라는 경기를 시작할 때부터 100미터 정도의 보너스를 미리 받는 셈이다.
○ 대학 졸업 후 미국에 왔을 때 나는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과 결정을 했다.
○ 바로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태도로 살기로 한 것이다.
- 전신애 전 미 차관보, ‘너는 99%의 가능성이다’에서
<이어지는 글>
- 반면에 부정적인 사람은 ‘잘 안될 거야!' '자신이 없어!'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삽니다.
- 그런 부정적 회의감은 에너지를 푹 꺼지게 만들고 될 일도 안되게 합니다.
- 부정적인 사람들은 세상의 어두운 면을 먼저 보지만 긍정적인 사람들은 세상의 밝은 면을 먼저 봅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생각 하나하나가 뇌 구조를 쉬지 않고 바꾼다, 목표는 도구의 주인이다, 위기는 안락함의 그림자다., 염려의 자리를 꿈으로 대체하라, 긍정적인 사람은 항상 희망적이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