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관, 경로당 이용>
[노인복지관, 경로당 이용]
- 어르신들에게 여가·문화·교육 등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지원 대상 어르신
- 지원 내용
- 동네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내에 다양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어르신들의 사회참여와 문화 향유 지원
- 신청 방법 별도 신청 없이 이용
- 문의 거주지 인근 복지관 및 경로당
<디지털배움터>
[디지털배움터]
- 지원 대상 전 국민
- 지원 내용
- 디지털배움터를 통해 디지털 기초, 생활(모바일, 키오스크 등) 등 ICT 활용 교육 무료 제공
- 신청 방법
- 디지털배움터 누리집( 디지털배움터.kr )을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전화((☎1800-0096) 신청
- 문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배움터(☎1800-0096, 디지털배움터.kr )
<취약지역 어르신 문화누림>
[취약지역 어르신 문화누림]
- 지원 대상 60세 이상 국민
- 지원 내용
- 취약 지역*의 노인을 연령대별로 세분화(초기 노년층 60~74세 / 후기 노년층 75세 이상)하여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 및 전국단위 실버문화페스티벌 개최
(취약지역: 소멸위험지역(118개) 및 문화환경 취약지역(69개))
- 신청 방법
- 취약지역 내 문화원, 문화의집 등 가까운 문화시설 이용
※ 매년 프로그램 운영 내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국문화원연합회를 통해 주변 지역 문화프로그램에 대해 사전 문의 필요
- 문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사업팀(☎02-704-4332, 2321)
<치매검진 지원>
[치매검진 지원]
- 어르신의 치매를 조기 발견하고 즉시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해드립니다.
- 지원 대상
• 선별검사 : 만 60세 이상 어르신(만 60세 미만으로 인지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조기검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포함)
• 진단·감별검사 : 만 60세 이상으로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어르신
- 지원 내용
검사종류 | 검사내용 | 지원내용 |
선별검사 | 치매 선별을 위한 간단한 인지선별검사(CIST) |
보건소에서 무료검사 실시 |
진단검사 | 전문의 진찰, 치매척도검사, 치매신경인지검사, 일상생활척도검사 등 |
협약병원에서 실시한 검사비 (15만 원 한도 내) 지원 |
감별검사 | 혈액검사,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뇌영상촬영 등 |
협약병원에서 실시한 검사비 (병 ․ 의원, 종합병원급 8만 원, 상급종합병원 11만 원 한도 내) 지원 |
- 신청 방법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신청
- 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사업>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사업]
- 지원 대상
- 만 60세 이상의 치매 진단을 받고 소득기준을 충족하는 어르신
※ 초로기 치매환자도 선정 가능
※ 소득기준 등 선정기준은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관할 치매안심센터에 확인 필요
- 지원 내용
- 치매 진료비와 약제비의 보험급여분 중 본인부담금을 최대 월 3만 원(연 36만 원)까지 지급
- 신청 방법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신청
- 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마치면서]
본 포스팅은 2024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지원신청을 위해서는 문의처에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노령층지원_사회참여나 문화활동이 필요할 때_노인복지관, 경로당 이용, 디지털배움터, 취약지역 어르신 문화누림, 치매가 걱정될 때_치매검진 지원,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사업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법령과 지원에에 대한 의견 개진은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및 국민신문고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원행정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