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복지&혜택_핵심정보요약

2024년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임신·보육지원_임신·출산이 경제적으로 부담될 때_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by ISTJ, 회계쟁이 2024. 10. 3.
반응형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 건강한 임신, 행복한 출산을 위해 태아와 임산부의 건강증진을 돕고 진료비와 출산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 지원 대상

- 임신을 희망하는 부부(사실혼, 예비부부 포함)

* 서울시는 유사사업(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 시행으로 ’24년 미참여

 

- 지원 내용

- 건강한 임신·출산 지원을 위해 임신을 희망하는 부부에게 필수 가임력(생식건강) 검사

* 비용(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 한도) 지원

* 여성(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남성(정액검사 등)

 

- 신청 방법

- 주소지 보건소 또는 e보건소를 통해 신청 후 사업 참여

- 의료기관(산부인과, 비뇨의학과) 방문하여 검사

* 참여 의료기관 e-보건소 안내 예정

 

- 문의 주소지 보건소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지원 대상 난임진단을 받은 난임부부

 

- 지원 내용

-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 체외수정(신선·동결배아), 인공수정 시술비 중 일부·전액본인부담금 90%, 일부 비급여항목을 지원

※ 자체별 지원내용 상이하나, 아래 최소 공통 지원기준 이상으로 지원 

구분 최대 지원횟수 최대 지원금액 (일부 ․ 전액본인부담금 90%)
44세 이하 45세 이하
체외수정 신선배아 20 110만 원 90만 원
동결배아 50만 원 40만 원
인공수정 5 30만 원 20만 원

 

* 지원 금액 내 비 급여항목 지원 한도

- 유산방지제 및 착상유도제 20만 원, 배아동결비 30만 원

 

- 신청 방법

• 보건소에 신청

• 정부24에서 신청

e보건소에서 신청

 

- 문의 주소지 보건소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알려드립니다]

- 난임부부의 심리적·정신적 고통 해소를 위한 심리 및 의료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중앙 및 권역 난임 ․ 우울증 상담센터 기관 안내

구분 운영기관 주소 전화
중앙 국립중앙의료원 서울 중구 을지로 245, 본관 2 02-2276-2276
인천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천 남동구 남동대로774번길 14, 여성전문센터 1 032-460-3269
대구 경북대학교병원 대구 중구 달구벌대로 2167, 7 053-261-3375
전남 의료법인 내일의료재단 현대여성아동병원 전남 순천시 장선배기18, 3 061-901-1234
경기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 경기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14번길 11, 3 031-255-3374
경북 경상북도 안동의료원 경북 안동시 태사255 054-850-6367
서울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남센터)
서울 강남구 연주로 211, 23
(송파센터)
서울 송파구 충민로 66, 가든파이브 영관 8
(강남)
02-2019-4581
(송파)
02-6956-6248
경기
북부
동국대학교 일산불교병원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7 031-961-8500

 

 

 

[2024, 이렇게 달라집니다.]

- 2024년부터 소득기준이 폐지되고, 2월부터 체외수정 시술을 통합 및 확대하여 총 20회 지원합니다.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마치면서]

본 포스팅은 2024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지원신청을 위해서는 문의처에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_정부복지_핵심정보요약_임신·보육지원_임신·출산이 경제적으로 부담될 때_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법령과 지원에에 대한 의견 개진은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및 국민신문고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법원행정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2024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반응형